Critical Sociology of Technoscience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Critical Sociology of Technoscience

메뉴 리스트

  • 홈
  • 소개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 연구노트
      • Doing & Writing theory with..
    • 번역노트
    • 강의노트
홈소개태그방명록
  • 연구노트
    • Doing & Writing theory with..
  • 번역노트
  • 강의노트

검색 레이어

Critical Sociology of Technoscience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technology

  • The Nature of Technology in philosophy and social science

    2022.03.23 by actant

  • STS approach(paradigm) 1: DNP

    2022.03.22 by actant

  • 기술비판이론 재고(제라드 딜렌티, 닐 해리스, 2021)

    2022.03.16 by actant

  • Technosystem (Feenberg, 2017)

    2022.03.16 by actant

The Nature of Technology in philosophy and social science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글 2022. 3. 23. 21:56

STS approach(paradigm) 1: DNP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글 2022. 3. 22. 23:38

기술비판이론 재고(제라드 딜렌티, 닐 해리스, 2021)

Delanty, G., & Harris, N. (2021). Critical theory and the question of technology: The Frankfurt School revisited. Thesis Eleven, 166(1), 88-108. *발췌 번역 정리 현대비판이론은 비판이론 1세대와는 달리 기술을 무시해왔다. 비판이론의 핵심 아이디어가 오늘날 기술의 본질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비판이론의 핵심 개념 중 일부를 재구성함으로써 기존 접근의 한계를 확인하고 보다 강력한 기술 이론에 도달할 수 있다. 제라드 딜렌티와 닐 해리스(2021)는 핀버그의 이론이 비판이론의 많은 단점을 시정하면서도 그들이 고심하는 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책은 제공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프..

번역노트 2022. 3. 16. 15:06

Technosystem (Feenberg, 2017)

Introduction (*부분 발췌 번역) 어떤 기술도 섬이 아니다. 모든 기술은 시장과 정부에 의해 매개된다. 더욱이, 경제적, 행정적 활동은 그 자체로 회계, 경영, 광고와 같은 다양한 '과학들'인 기술학분야에 의해 구조화된다. 이는 푸코가 정신의학과 범죄학의 정치학에 대한 연구를 통해 유의미하게 탐구한 문제이다. 기술학분야에 대한 시스템의 의존성과 상호 중재는 현대 사회의 필수적인 특징이다. 이 모든 시스템의 구체적인 합리성은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경제적이든 행정적이든 기술적이든 그것은 본질적으로사회기술적(sociotechnical)이다. 이것이 바로 루카치가 말하는 자본주의의 물화된합리성이다. 존재론적인 유한성(한계성)은 기술의 본성과 인간존재로서의 우리 본성을 다룬다. 인식론적인 유한성은 우..

번역노트 2022. 3. 16. 13:53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푸터 로고 © Webzine CST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